전체 글 (26) 썸네일형 리스트형 [chatGPT] 아직 진짜는 등장하지 않았다. 프로토타입에 불과한 chatGPT 알파고가 사람을 이겼던 방법은 명백하게 그동안 인간이 반복했던 바둑 기보를 대량으로 학습했기 때문이었다. 기존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예제 중심의 패턴을 학습하는 방법 말이다. 알파고가 차지했던 왕좌는 하지만 오래가지 못했는데, 2016년에 등장한 알파고에 이어 불과 3년 만에 개발된 알파고제로에게 왕좌를 빼앗기고, 그 뒤로 또다시 알파제로에게 왕좌가 넘어지는 등 계속 개선된 AI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AlphaGo"과 "AlphaGo Zero"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육 데이터: "AlphaGo"는 사람의 바둑 전술을 기반으로 학습하였지만, "AlphaGo Zero"는 교육 데이터 없이 스스로 게임을 하면서 학습하였습니다. 전략 방법: "AlphaGo"는 미리 구축된 트리 구조를 기반.. chatGPT가 불러올 변화된 미래 "대한민국 교육은 망했다" 느닷없이 등장해서 많은 온갖 매체에 핫이슈를 장식하고 있는 chatGPT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주변 사람들이 하나둘씩 chatGPT를 이용한 결과물을 자랑하는 것을 구경만 하고 있기에는 손가락이 근질근질했었는데요. 저 역시도 chatGPT 서비스를 사용해 보기에 이르렀습니다. 우선 chatGPT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 드려야겠는데요. 오래전에 등장했던 “심심이”를 기억하시는 분들은 매우 익숙하실 채팅 문답 서비스입니다. “저는 OpenAI에서 훈련한 ChatGPT이라는 큰 언어 모델입니다.” 서비스에 접속하면 화면 하단에 질문을 입력하는 창이 보이고, 사용자가 궁금한 것을 입력하면 chatGPT가 미리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을 해주는 것이 기본 구조인데요. 위에 올려놓은 캡처 이미지가.. 이전 1 ··· 6 7 8 9 다음